Results matching “Like” from KJLab, the days of ICT lives

예쁜 UI의 승리? - PATH와 Pinterest

최근 빨간색으로 포인트를 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모바일 SNS 서비스인 "PATH"와 스크랩 서비스인 "Pinterest"가 그것들이다. 우선 PATH는 페이스북과 비슷한 SNS 서비스인데, 그간 유독 모바일앱이 부실(?)했던 페이스북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 탁월하게 예쁜 UI를 뽐내고 있다. 그러다 최근 무단으로 주소록을 저장한 것이 발각되면서 그러한 거품 인기에 그나마도 제동이 걸리고 있는 모습으로 보인다. 그에 비해, Pinterest는 Virtual Pinboard를 표방한 스크랩 서비스로서 SNS 시장에 새로운 Trend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도 최근에 궁금해서 써보다가 편안하게 빠져들고 있다. (내 Pinterest)

[How To Pinterest from Braid Creative on Vimeo.]

Pinterest의 최근 승전보들 - ex. 사상 가장 빠른 천만히트? - 에 대해 가장 당혹스러운 진영은 아마도 구글 Plus일테고, 페이스북도 주커버그까지 이미 가입해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정도니 그 행보를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시장에서 슬슬 페이스북의 Like 버튼이 실제로는 별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까지 새어나오고 있지 않던가. 요기 아래에도 선명하게 박혀있는 저 Like 버튼은 오직 주커버그에게만 충성하는 무시무시한 프락치 노릇만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눌러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니 실은 인테리어입니다.)

실제로 활동하는 가입자수도 똑바로 밝히지 못하는 구글 Plus의 쓸쓸한 거짓말은 아마 끝없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구글의 서비스/검색 통합 정책과 억지로 맞물리더라도 결국 백조가 되지 못한 미운 오리새끼로 그 끝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페이스북 사용자가 구글 Plus를 사용해야할 이유가 없으며, 사진들 이사하기도 귀찮다 - 페이스북의 Timeline은 또 얼마나 이쁜가? 특히 구글이 +1 버튼을 만든 것은 실로 부끄러운 일이었으며, 그러한 따라하기로 SNS 시장에서 어떻게 때워보려 했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는 일례로 남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Pinterest도 당연히 새로운 서비스는 아니다. 즐겨찾기(북마크)를 저장하는 서비스들은 이미 충분히 많다. 지금은 앙상하게 망해버린 del.icio.us, digg 등과 같은 맥락이고, 최근까지 충분히 건재한 Instapaper, ReadItLater 들과도 닮아있다. 이러한 즐겨찾기 저장 서비스들이 그간 겪어온 문제는 무엇인가. 바로 사용자가 스크랩은 계속 해대는데 스크랩북은 도무지 정리가 안되는 것이다. 나도 계속 del.icio.us에 무언가를 쌓고 있지만, 거기에 뭐가 쌓여있는지 솔직히 잘 모른다. 회사에선 집에 가서 차분히 읽어야지 하고 구글의 +1 버튼을 잔뜩 눌러놓지만, 또 그것은 그것대로 차곡차곡 긴 목록 형태로 쌓여서 주말의 스트레스가 된다.실은, 즐겨찾기를 웹에 저장하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어쩌면 즐겨찾기란 PC마다 다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면서 평생을 보내야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스크랩 서비스들과 달리, Pinterest는 웹에서 저장하고 싶은 주소(URL)들을 대표 이미지를 뽑아 Virtual 스크랩보드처럼 담아준다. 보드도 여러 개여서 스크랩들의 폴더 관리도 한 눈에 쏙쏙 들어오며, 회사의 PC에서든 거실의 아이패드에서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물론, Follwing/Follow도 시원시원하게 잘 터지는 소셜 네트워크 스크랩북이다. 자연스레 Pinterest는 페이스북에 로그인 연동부터 기생하면서 페이스북의 Like 버튼을 대체할 기세다. 이미 페이스북 Timeline에 Open Graph로 연동되므로 'Pin it'(Pinterest에 URL을 저장)하는 순간, 페이스북 친구들에게도 실시간으로 전파된다. 직접 써보면, 예쁜 보드에 담겨진 내 소중한 스크랩들을 보면서 내 머리도 저렇게 정리되진 않았을까 착각에 빠지게 된다.

깔끔한 유료앱으로 쏠쏠히 재미를 보고 있을 Instapaper도 제법 데미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클리핑' 시장을 두고 Evernote도 Clearly 등을 추가로 내놓는 등 열심이지만, Pinterest의 UI가 워낙 압도적이시다. 대표 이미지로 스크랩들이 저장되고 관리되므로 진정한 시각화란 무엇인지 Pinterest는 보여주고 있다.

결론은, 심플하고 예쁘게 만들 것,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 참, Pinterest는 예쁘게 생긴 덕분에 주로 여자들에게 선호를 받고 있다고 하는데, 남자들은 안 쓸건가? 과연 남자들은 text로 스크랩해야할 일이 많기 때문일까. 여기서도 신조어 만들어 팔아먹는 펜쟁이들은 Pinterest를 또 '소셜 큐레이션' 어쩌고 거품 무는 모양이다. Curation? 박물관에나 있는 단어 아니었나, 우리의 즐겨찾기가 실은 Digital Asset이었다고? 아, 지금 안 읽으면 어차피 못 읽는다. 괜히 미련 떨면서 예쁘게 담아두지 말고 버려라, 버려. 다들 네트를 오염시키고 있다고!



[덧. PATH가 혹 섭섭해할까봐 ...]
PATH에는 "자다/일어나다"를 기록하도록 장려하는 점 - 왜? - , 최대 친구 수 제한이라든지 모바일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제한 등 페이스북을 살짝 비틀어보려는 시도들이 있으나 별로 재미없어 보인다. 다만, 참 예쁜게지...

덧 둘. Pinterest 안드로이드앱이 또 한국 마켓에서 조회가 안된다. 저작권 이슈 때문일까. 그럼 apk로 구해야하나.

애플도 쉬어갑니다

[ZDnet] 아이폰5 없이 23만원 4S 공개...세계 '허탈'

어제 조금 늦게 자게 되어 뜻하지 않게 애플의 16개월만의 차기 아이폰 발표 - Let's talk iPhone? - 를 어떤 블로그의 친절한 실시간 중계 - "사진+text" 로 지켜보았다. 아이폰5가 아니었고 아이폰4s도 별 것 없었다. 이번 발표에 너무 실망할 일만은 아니다. 잡스는 떠났고, 애플의 post-잡스 시대는 이제 막 시작했을 뿐이니까. 이번에 신제품이 나왔다면 그것 또한 잡스의 것이었으리라. 특히, Siri(음성인식시스템?)는 잡스가 준비하던 거대한 그림의 어떠한 시작이었을 것으로 보여 괜히 안타깝더라. 누군가의 말처럼 "애플이 이제 great에서 good으로 그 여정을 바꾸기 시작했다"는 말이 참일까? 두고볼 일이다.

Apple_event_270x269.jpg

다만, 내가 주목했던 것은 달라진 프리젠테이션 형태였다. 이제 CEO가 모든 것을 이야기하지 않게된 점이다. 잡스의 지독하고 터무니 없는 독재 체제는 결국 그의 천재성 - 다빈치에까지 비견되는? - 으로 용서받았지만, 후임자에게는 참으로 부담스러운 노릇이 아닐 수 없으며, 내부에서도 은은한 저항이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다시 그처럼 제왕적 CEO가 필요하다는게 요즘의 내 생각이다. 모든 경영 사안을 통합적으로 '결정'하고, 고객의 경험을 스스로 하나하나 '디자인'할 수 없는 CEO는 결국 지난 관리시대의 잔재로 사라질 수 밖에 없다. 지혜를 나누어서 결정하지만 덕분에 아무도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체제, 어제의 분담 발표는 혹시 앞으로의 애플 모습이 그리 되진 않을까 우려스러웠다.

이번 발표에 더 기대되어야 하는 것은 어쩌면 iCloud였을 것이다. 기계보다는 그 기계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객들에게 어떤 세상을 열어줄 지가 더 중요하다. 이곳은 결코 제조업체들의 각축장이거나 무의미한 통신속도의 레이스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래 아마존 CEO의 일갈은 정말이지 멋지고도 중요하다. 기계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애플의 본격적 iCloud를 지켜볼 참이다. 참, 애플도 쉬어갈수도 있는 법이다. 종이카드사업은 또 뭘까, 정말 크리스마스 카드나 보내면서 쉬자고?

Bezos(Amazon CEO): "In The Modern Era Of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If You Are Just Building A Device You Are Unlikely To Succeed." - 소비자 전자기기의 근대에 그저 어떤 기기를 만들려고 한다면 당신은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싸이월드의 한참이나 늦은 변화

[블로터넷] 네이트·싸이월드 계정으로 소셜댓글 단다

cyworld_livere-370x375.jpg

싸이월드의 폐쇄성, 정말 계속해서 지적받던 문제였는데 이제야, 정말 이제서야 꼭꼭 닫고있던 창문부터 조심스럽게 하나 둘 열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느덧 회사에서도 서로의 싸이월드를 몰래 열어보던 이들이 줄어들고, 페이스북에서 누군가들을 찾고 있는 아저씨들이 늘어나는 것을 보며 싸이월드의 오늘내일하는 마지막 호흡을 가늠해본다.

실은,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의 오늘날은 개방과 폐쇄의 서비스 구성 차이보다 어쩌면 기술력의 차이이기도 하다. 딱히 싸이월드가 부족하다기보다 페이스북의 기술력이 막강한 것이다. 아, Like It(좋아요!) 버튼의 이 간편함과 센스라니... - "어디에든 달고, 어디서든 눌러만주세요"는 힘이다. 즉, 개방성은 기술력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는 것이다. 페이스북도 외부에서 자기에게 오는 것이나 개방적이지 그 반대 방향으로는 지극히 폐쇄적이다.

기사에서도 보면 여전히 "C로그" 어쩌구 이야기가 나오는데 싸이월드界에서 다시 블로그를 별도로 꾸리려 애쓰는 것은 답답하기 그지 없다. 단순과 개방, 그것이 정답이지 않았을까. 단순해서 오히려 밋밋할 페이스북은 블랙홀처럼 계속 모든 것을 빨아들이고 있다 - 최근에는 이메일까지? 그래, 메시지 주고 받는게 중요하지 그게 이메일이든 뭐든 무슨 상관이람. 그에 비해, 아무데나 쓰면 되지 왜 C로그라고 굳이 뭘 따로 만드나? 그럼에도 아직 싸이월드 진영에 마지막 기회 정도는 남아있을 것 같은데 지금 정도의 행보로는 여전히 어렵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싸이월드에게는 조심스럽게 고쳐볼 여유가 없다.

덧. 라이브리 댓글 시스템은 본 페이지에서 시도해보았으나 이모저모 아쉬운 점이 있어 현재는 제거하였다. 싸이월드가 추가되었다고 해도 지금으로서는 다시 달고 싶지 않다. [6/29] 오히려 페이스북 커멘트를 추가하였다. 와, 완벽하다...

Facebook Era

골드만삭스의 5억 달러부터 영화 "소셜 네트워크"까지 곳곳에서 페이스북 이야기이고, 이제 한국에서도 페이스북을 안 쓰고 있다면 슬슬 촌스럽다고 몰릴 지경이다. 주커버그들이 이야기하듯 페이스북은 다만 서비스가 아니라 점점 유틸리티화 - 삶에 필수적인 도구화? - 되어가고 있다. 그럼 우리는 왜 페이스북을 할까?

  1. 사진을 갖는 서비스가 승리한다.
    무엇보다, 지금 이 시점에 '사진 공유하는 서비스'의 패권을 세계적으로 페이스북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페이스북에 접속해야 타인의 사진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 한창 호사가들이 소셜네트워킹이니 뭐니 거품 무는 서비스 장르의 귀결은, 결국 사진을 올리고 타인과 공유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사진을 마음껏 업로드할 수 있고, 타인이 공개한 사진을 "편히" 볼 수 있으면 된다. 싸이질이 실은 뭐였던가? 다른 사람들이 디카로 찍은 사진 몰래 보던거 아니였던가. facebook은 "얼굴(이 나오는)책"이란 뜻이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사진을 올릴까가 어떻게 하면 웹에서 성공할까와 같은 말이 아닐까.

  2. "아이러브스쿨"에서 "싸이월드"로 이어졌던 한국의 흐름과 같다.
    페이스북의 성공모델을 한국식으로 돌아보면 아이러브스쿨에서 싸이월드까지의 흐름을 한 번에 잘 이어가고 있다고 보면 될 듯하다. 자신이 거쳐온 학교, 직장들을 Profile에 기재해보자. 잊혀졌던 친구들, 동료들의 사진이 또 마구 쏟아질 것이다. 정말 친절하게도 그 사람이 싱글인지 연애중인지(결혼했는지) 표기하는 Relationship(결혼/연애상태) 필드까지 참으로 태연하게 달려있다. 게다가 친구 추천은 얼마나 무서운지. "알 수도 있는 사람"은 정말 알기 쉽다.

  3. 모든 길은 페이스북으로 통한다.
    사진을 공유하고 나면, 커멘트를 남기고 싶어진다. 페이스북에서는 "친구"가 어떤 다른 사람들의 사진을 보는지, 거기에 뭐라고 커멘트하는지 쉽게 서로 Following할 수 있다. 그래서 결국 더 많은 사진을 보게하는 것이다. 나아가 사진 뿐 아니라 친구들의 시시껄렁한 잡담, 뉴스 스크랩, 소셜게임 스코어, Like(Like 몰라요? 여기 아래에도 있는데...) 등까지 친구들이 페이스북에 남기는 모든 흔적들을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페이스북은 외부 웹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받아들이지만, 정작 자신은 RSS 하나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다.(아직도 찾아보고 있는 중인데 안 보이는데?) 이런 추세라면 트위터도, 이메일도, 메신저도, 사진첩도 따로 굴릴 필요가 없다. 페이스북 ID 하나면 다 통합된다.

최근 페이스북의 성공 가도를 지켜보면서 답답한 것은 한국의 현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충분히 익숙한 문화현상 - 아이러브스쿨, 싸이질 등 - 임에도 페이스북이 마치 새로운 것처럼 다시 역수입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도 그 오랜 영어 때문일까 갸우뚱해보게 된다. 싸이월드, "아직은"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Z. 실은, 페이스북이 뜬 것도 고독 때문일 것이다. 누군가를 찾고, 또 궁금해하고 계신가요.

"또한 우리의 소울메이트를 받아들이지도, 발견하지도 못한 채 그대로 지나쳐 보낼 수도 있어. 그러면 우리는 그 소울메이트를 만나기 위해 한번 더 윤회를 거듭해야 하고 우리의 이기심으로 우리 스스로가 빚어낸 최악의 벌을 받아야 하지. 고독이라는 벌을"
- 파울로 코엘료, 브리다 中에서

Tweet 버튼과 Like 버튼 추가

아래에 Twitter의 Tweet 버튼, Facebook의 Like 버튼을 달았습니다.
눌러주는 이가 아무도 없을지라도 내 공부 차원에서 한 번 달아보았습니다. 혹 지나가다 이를 보시는 친절한 과객께서는 한 번 쯤 시험삼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아이폰,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해주시면 더욱 감사 :)

세상은 분명 광속으로 변해가고 있다. Facebook의 세계적 공세에 안타까운 것은 싸이월드. 한국에 저 대단한 Facebook이 여전히 침투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오직 싸이월드 때문, 하지만 잠자는 토끼가 되어선 곤란. 싸이월드, 언제까지 잘 것인가.

# Links...
[twitter] http://dev.twitter.com/pages/tweet_button
[facebook] http://developers.facebook.com/docs/reference/plugins/like

구글 리더에 대한 아쉬움

옴니아로 가끔씩 RSS reader를 읽는 일이 생기면서 - WiFi는 잘 모르겠고 3G 500M free!도 웹서핑만으로는 결코 소진하기 어렵다 - 정든 hanrss에서 구글리더로 자연스레 옮겨가게 되었다. 바야흐로 스마트폰 시대인 것이다. 특히 다중 카테고리가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어떤 피드는 "IT trend"에 속하면서 동시에 "mobile"일 수 있다. 내가 구독하는 100여개의 피드들 중 mobile 폴더에 들어있는 것들은 스마트폰에서 심심풀이 볼 법한 피드 몇 개들이다.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일상적인 카테고리 분류 별 - IT trend/News/Like 등 - 로 보다가 mobile로 접속할 때면 mobile 분류에 있는 피드들만 보면 된다.

다만, 아쉬운 점이 하나 있다. hanrss는 피드 별로 읽지 않은 item을 100개 이상 쌓지 않는 시스템적(maybe?) 한계를 갖고 있었는데, 이것이 RSS reader 구독을 포기하지 않게 만드는 비결이었다. 구글리더는 천개까지도 마구 쌓아준다. 그러다보니 잠깐 방심하면 부동산 찌라시까지 낀 (안타까운) 언론사 피드나 구독목록에 추가할 때의 포부와 다르게 결코 안 들르게 되는 영어피드(Wired, HuffingtonPost, TechCrunch 등등...) 등은 가뿐히 수백개가 넘어간다. 덕분에 매번 찜찜하게 Mark All items as read를 누르게 된다. 잔뜩 쌓여있는 피드 덩어리들을 보면 RSS 리더를 보는 심기가 불편해지게 마련이다. 100개 이상 놓쳤다면 그 지난 피드는 놓쳐도 되는 것일텐데, 구글리더에서도 그러한 제한 기능을 설정해주었으면 좋겠다. - 이미 되는 기능인데 모르고 있나?

구글리더 창을 스파이처럼 업무 중에 몰래몰래 열때마다 꾸역꾸역 밀려있는 피드들은 볼 때마다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이 시대의 정보량이란 지금 눈앞에서 흘러가고 있는 물만 마시기도 벅차다. 그렇게 밀렸다면서 아침에 네이트 랭킹뉴스까지 굳이 기웃거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이 그리도 궁금한가?